본문 바로가기
Work &/Landscape Works

[Works] 배수 불량 구간 수목 식재

by 명랑패밀리 in 분당 2019. 2. 7.

좀 더 난이도 있는 공사입니다.

생각해보면 별로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결정하고 실행하기 까지의 난이도가 있다는 것입니다.

 

사례도 보여드릴 곳은 보행이 많은 광장구간 입니다.

 

본공사 구간 앞 광장에 수목 추가공사가 주어집니다.

열식으로 느티나무를 식재하는 것이구요.

흠...느티나무. 제법 난이도가 있지요. R20정도의 규격을 식재해야 합니다.

하절기 공사 이기에 수목하자에 대한 우려가 우선이며, 그에 대한 Risk 관리가 필요했습니다.

 

광장은 이미 기존 석재 포장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구간을 설정하고 식혈을 조성해야 합니다.

구간을 설정하고 석재를 컷팅합니다.

 

컷팅 후 장비작업으로 식혈 조성을 마무리합니다.

식혈은 2mX2mXH2.0 입니다.

 

우선, 식혈에 담수하여 배수가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모두는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도 위의 구간처럼 배수가 잘 안되는 배수불량구간이 발생합니다.

 

여기서부터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느냐죠. 중간중간 이런곳이 발생하여 포기하게 되면 열식 컨셉의 식재에 지장이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방향을 잡은 것이 유도배수 입니다.

물을 제거한 후, 담수 시 배수가 정체되었던 높이까지 자갈층을 조성합니다.

배수 정체구간까지 조성하여야 추후 동일 현상 발생 시 최소한의 안전층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입니다.

 

이후, 모래층을 조성하여 한번 더 배수에 대해 대비합니다.

 

이후 수목을 식재합니다. 지주목 대신 지중지주를 사용하여 광장 이용자의 보행에 지장물을 최소화 합니다.

 

뿌리분의 노출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목재데크를 설치하기 위한 각관 Truss를 설치하고 데크를 마무리합니다.

광장의 보행에 최대한의 면적을 조성하기 위함이죠.

좀 더 깔끔하게 마무리 하기 위하여, 데크와 석재 사이 중간재 마무리는 엣지를 덧대어 마감합니다.

 

요 과정이 유도배수를 하기위한 마지막 추가 작업입니다.

배수 불량 구간의 식혈 주변으로, 코어를 뚫어 통기구를 조성합니다.

깊이는 2m으로, 식혈을 조성한 깊이와 동일한 깊이이며, 4면의 주변 2개소씩 나름 디자인적으로 고려합니다. ㅋㅋ

통기구 덮개는 매설형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감하여 마무리 합니다.

 

도심지 광장의 배수 불량구간 식재공사였습니다.

하자 교체시 장비 사용 등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있기 때문에, 하자에 대한 예방책을 고려하여 식재하여야 했습니다.

어렵게 공사 한 만큼 현재는 하자없이 잘 자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댓글